본문 바로가기

ETC

GET, POST, PUT

GET

리소스 획득

GET 메서드는 리퀘스트 URI로 식별된 리소스를 가져올 수 있도록 요구한다

- GET 요청은 캐시 할 수 있다

- GET 요청은 브라우저 기록에 남는다

- GET 요청을 북마크에 추가할 수 있다

- 민감 데이터를 처리할 때 GET 요청을 사용해서는 안된다

- GET 요청에는 길이 제한이 있다

- GET 요청은 데이터 검색에만 사용해야 한다

 

 

POST

POST 메서드는 엔티티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

GET으로도 엔티티를 전송할 수 있지만, 자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POST를 사용한다

HTTP POST는 데이터가 URL에 표시되지 않으며 웹사이트에 데이터를 제출할 때 일반적으로 HTTP POST는 사용자 상호 작용의 결과로만 수행될 수 있다(e.g. Submit button)

- POST 요청은  캐시되지 않는다

- POST 요청은 브라우저 기록에 남지 않는다

- POST 요청을 북마크에 추가할 수 없다

- POST 요청에는 데이터 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다

 

 

+ POST가 URL에 요청 정보가 보이지 않는다더라도 GET보다 안전하다 할 수 없다

(둘 중 어느 하나가 보안에 안전하다 할 수 없다)

 

PUT

PUT 메서드는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
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PA] JPA N+1 문제 및 해결방안  (0) 2022.09.11
www.google.com을 입력했을 때 웹 동작방식  (0) 2022.09.03
JWT(Json Web Token)에 대해  (0) 2022.08.31
Git 연습하기  (0) 2022.01.09
회고를 작성하기 위한 KPT, 5F  (0) 2021.12.31